✅ 2025년 6월 2주차 주요 경제·이슈·마케팅 뉴스 TOP 10
1. G7 정상회의 앞두고 한미일 통상 협의
이재명 대통령은 6월 중순 캐나다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에 앞서 미국, 일본과 통상 관련 양자 회담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조선, 자동차 등 한국 주력 수출 품목에 대한 협상 및 관세 조정 논의가 예상되며, 미·일과의 전략적 연대 강화도 핵심 주제입니다.
▶ 관련 기사 보기 (한겨레)
2. 재계 총수들과의 간담회 – 규제완화 및 통상 지원 약속
6월 13일 대통령은 삼성, 현대차, SK, LG 등 주요 대기업 총수들과 간담회를 열고 통상·무역 지원과 규제 혁신을 약속했습니다. 반도체·자동차 등 주력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행보로, 민간 투자 활성화와 산업 혁신이 동시에 논의되었습니다.
▶ 관련 기사 보기 (조선비즈)
3. 추경 지시 및 긴급 예산안 편성
이재명 대통령은 6월 9일 제2차 비상경제TF 회의에서 생필품 가격 급등에 대응하고 내수 회복을 촉진하기 위한 추경을 지시했습니다. 취약계층 지원, 서민 물가 안정, 소상공인 대책 등이 중심 내용입니다.
▶ 관련 보도자료 보기 (정책브리핑)
4. 남북 긴장 완화 – DMZ 확성기 방송 중단
6월 11일, 정부는 남북 간 긴장 완화를 위해 DMZ 지역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단했습니다. 이는 평화 정착을 위한 신뢰 조치로 평가되며, 향후 북한의 반응 여부가 주목됩니다.
▶ 관련 보도자료 보기 (정책브리핑)
5. 제조업 PMI 47.7 – 5개월 연속 위축
5월 제조업 PMI가 47.7로 5개월 연속 50 미만을 기록하며 경기 위축 국면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신규 주문 감소와 생산 둔화가 복합 작용한 결과로, 수출 감소와 소비 위축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 PMI 보도자료 보기 (정책브리핑)
6. 제21대 국회 개원 – 민생 예산 및 정책 논의 본격화
6월 4일 국회 개원 이후 예결위, 기재위 등 주요 상임위를 중심으로 추경 예산과 자영업자 지원, 소비 진작책 등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여야 협치 여부에 따라 예산 집행 속도에도 변화가 예상됩니다.
▶ 관련 기사 보기 (KBS)
7. 울산 버스노조 파업 – 운행 재개
6월 7일 울산 버스노조가 임금 인상과 근무 조건 개선을 요구하며 19시간 파업을 진행했고, 합의에 도달해 8일 새벽부터 정상 운행이 재개되었습니다. 해당 사안은 교통 혼란과 지역 상권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 관련 기사 보기 (경향신문)
8. 원·달러 환율 안정 – 인플레 압력 완화 기대
6월 초 원/달러 환율은 1,350원 초반에서 안정세를 보이며 수입 물가 부담 완화에 긍정적인 신호를 주고 있습니다. 미국 금리 동결 기대감, 위안화 등 아시아 통화 강세가 원화 안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관련 기사 보기 (연합뉴스)
9. MS·구글 클라우드 실적 호조 – 국내 산업에 훈풍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글로벌 기업의 클라우드 실적이 기대치를 상회하며 국내 클라우드 산업과 AI 스타트업에도 긍정적 파급효과가 기대됩니다. IT 인프라 수요 회복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 관련 기사 보기 (The Verge)
10. S&P, 글로벌 통상 리스크 확대 경고
S&P는 미국 기준금리 불확실성, 중국 경기 둔화, 유럽 정치 리스크 등으로 글로벌 교역에 타격이 예상된다고 경고했습니다. 한국 등 아시아 신흥국은 환율 및 수출 변동성에 대비한 전략 수립이 요구됩니다.
▶ 관련 기사 보기 (CNBC)